건축물 화재 예방과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소방설비기사(전기·기계) 자격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소방시설 설계, 점검, 유지보수, 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관련 업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소방설비기사 시험 일정, 응시자격, 시험 개요(전기·기계)까지 상세히 정리해보겠다.
2025년 소방설비기사 시험 일정
소방설비기사 시험은 연 3회 시행되며, 필기와 실기 시험이 따로 진행된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에만 해당 회차 실기시험 응시가 가능하다.
- 1회차 시험 일정
1. 필기 원서접수: 2025년 1월 13일 ~ 1월 16일
2. 필기 시험: 2025년 2월 7일 ~ 3월 4일
3. 실기 원서접수: 2025년 3월 24일 ~ 3월 27일
4. 실기 시험: 2025년 4월 19일 ~ 5월 9일
- 2회차 시험 일정
1. 필기 원서접수: 2025년 4월 14일 ~ 4월 17일
2. 필기 시험: 2025년 5월 10일 ~ 5월 30일
3. 실기 원서접수: 2025년 6월 23일 ~ 6월 26일
4. 실기 시험: 2025년 7월 19일 ~ 8월 6일
- 3회차 시험 일정
1. 필기 원서접수: 2025년 7월 21일 ~ 7월 24일
2. 필기 시험: 2025년 8월 9일 ~ 9월 1일
3. 실기 원서접수: 2025년 9월 22일 ~ 9월 25일
4. 실기 시험: 2025년 11월 1일 ~ 11월 21일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같은 해 실기시험을 반드시 응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 회차에도 응시할 수 있다.
응시자격
소방설비기사 시험을 응시하려면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 관련 학과 졸업자
1) 4년제 대학에서 소방 관련 학과를 졸업(예정)한 경우
2) 2·3년제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1~2년의 실무 경력이 있는 경우
- 실무 경력자
1) 소방 관련 실무 경험이 4년 이상이면 응시 가능
2) 관련 자격증 보유자
3) 소방설비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이상 실무 경력이 있는 경우
4) 소방설비 기능사 취득 후 3년 이상 실무 경력이 있는 경우
- 학점은행제 활용 가능
1) 학점은행제에서 106학점 이상 이수하면 응시할 수 있다.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실무 경험이 있거나,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증을 갖고 있다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시험 개요 (전기·기계)
소방설비기사 시험은 전기 분야와 기계 분야로 나뉘며, 두 시험의 과목 구성과 출제 방식이 다르다.
-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 개요
✅ 필기 시험 (객관식 4지선다형, 총 80문항)
1. 소방원론
2. 화재 발생 원인과 연소 과정
3. 소화 원리 및 소방시설 개요
4. 소방전기일반
5. 전기회로, 전력 및 조명공학 개념
6. 전기안전 관리 및 감전사고 예방
7. 소방관계법규
8. 소방기본법, 소방시설법, 소방공사업법
9. 소방시설 설치 기준 및 유지관리 관련 법령
10.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11. 화재경보 설비, 감지기, 유도등의 구조 및 동작 원리
12. 소방전기시설 배선 및 시공 방법
✅ 실기 시험 (필답형 서술식 + 계산 문제 포함)
1. 소방전기설비의 배선 공사 및 감지기 설계
2. 도면 해석 및 전기회로 설계
3. 화재 경보 시스템 점검 및 유지보수
전기 분야의 경우, 법령 개정이 잦아 최신 법령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감지기 및 배선 설계 문제도 중요하다.
- 소방설비기사(기계) 시험 개요
✅ 필기 시험 (객관식 4지선다형, 총 80문항)
1. 소방원론 (전기와 동일)
2. 소방유체역학
3. 유체 흐름, 압력, 유량 계산
4. 배관 설계 및 소방펌프 성능 분석
5. 소방관계법규 (전기와 동일)
6.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7. 소화설비(스프링클러, 소화전) 설계
8. 배관 구조 및 유체 흐름 제어
✅ 실기 시험 (필답형 서술식 + 도면 작성 포함)
1. 소화설비 배관 설계 및 압력 계산
2. 배관 압력 손실 및 유량 조절 계산
3. 도면 해석 및 시공 방법
기계 분야는 배관 설계 및 유체역학 개념이 중요한 만큼, 도면 해석과 배관 압력 계산 문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마무리
소방설비기사(전기·기계)는 건축물 화재 예방과 안전을 위한 필수 자격증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반드시 소방설비기사 자격증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다.
- 시험은 연 3회 시행되며, 필기와 실기시험으로 구성
- 응시자격은 학력, 실무 경험, 관련 자격증 보유 여부에 따라 결정
- 전기 분야는 감지기·화재경보 설비 중심, 기계 분야는 소화설비·배관 시스템 중심
- 실기 시험에서는 도면 해석, 배선·배관 설계, 유체역학 계산이 중요
체계적인 학습이 필수적인 시험이지만, 기출문제 풀이와 실전 연습을 병행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 2025년 소방설비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철저한 계획을 세워 대비해야 한다.